반응형

sqld 6

SQLD 합격

원래 발표일인 4.8일 보다 1주일 빨리 발표했다! 1회독 하고 시험봤는데 합격해서 좋당 자랑스러운 점수는 아니지만..ㅎㅎ 그래두 기록해놓는다! 다음 자격증은 뭘 따볼까!! ++) 추가 4.8일 최종 결과 발표에서 점수가 달라졌다. 어쩐지 1과목이 높게 나왔다 했다,,, 나는 다행히 점수가 별 차이가 없는데, 점수가 바뀌면서 과락이나 최종점수가 변경 되어 결과가 바뀐 사람도 많은 모양 ㅠㅠ 큰 시험이면 좀 더 철저히 시험 결과를 관리해야 하는게 아닌가 싶다.

자격증/SQLD 2023.02.22

SQLD 오답노트

1과목 1장 p11 - 8 1) 선택/정답 : 맞은 문제지만, 관련 개념이 없어 정리 2) 설명 : 가장 중요한 엔터티를 왼쪽 상단에 배치하고, 이것을 중심으로 다른 엔터티 나열 p11 - 10 1) 선택/정답 : 4 / 3 2) 설명 : 엔터티의 특징 - 반드시 해당 업무에서 필요하고 관리하는 정보 - 유일한 식별자에 의해 식별이 가능해야 함 - 영속적으로 존재하는 "두 개 이상의" 인스턴스의 집합 - 업무 프로세스에 의해 이용되어야 함 - 반드시 속성이 존재해야 함 - 다른 엔터티와 최소 한 개 이상의 관계 존재 - 엔터티 vs 속성 vs 인스턴스 엔터티(Entity) = 테이블 : 유용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집합적인 것. 개념, 사건, 장소 등의 명사 속성(Attribute) = 컬럼 :..

자격증/SQLD 2023.02.22

SQLD 2장 2-3과목

2과목 2장 집합 연산자 1) 개념 : 두 개 이상의 테이블에서 조인 하지 않고, 연관된 데이터 조회시 사용 2) 종류 - UNION : 합집합 (중복 1개로 표시) - UNION ALL : 합집합 (중복 행도 표시) - INTERSECT : 교집합(INTERSECTION) - EXCEPT, MINUS(Oracle) : 차집합(DIFFERENCE) - CROSS JOIN : 곱집합(PRODUCT) 순수 관계 연산자 1) 개념 : 관계형 DB를 새롭게 구현 2) 종류 - SELECT → WHERE - PROJECT → SELECT - NATRUAL JOIN → 다양한 JOIN - DIVIDE → 사용x FROM 절 JOIN 형태 1) 종류 - INNER JOIN : JOIN 조건에서 동일한 값이 있는 행만..

자격증/SQLD 2023.02.21

SQLD 2장 1과목

2과목 1장 SQL 문장들의 종류 1) DML : SELECT, INSERT, UPDATE, DELETE 등 데이터 조작어 2) DDL : CREATE, ALTER, DROP, RENAME 등 데이터 정의어 3) DCL : GRANT, REVOKE 등 데이터 제어어 4) TCL : COMMIT, ROLLBACK 등 트랜잭션 제어어 제약조건 :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보편적인 방법 1) PRIMARY KEY : 기본키. 하나의 테이블에 한 개만 지정 가능. 자동으로 UNIQUE 인덱스 생성 NULL값 입력 불가 (기본키 제약 = 고유키 & NOT NULL 제약) 2) UNIQUE KEY : NULL 가능, 행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고유키 3) NOT NULL : NULL 값 입력..

자격증/SQLD 2023.02.21

SQLD 1장 2과목

1과목 2장 성능 데이터 모델링 : DB 성능향상을 목적으로 설계 단계의 데이터 모델링 때부터 정규화, 반정규화, 테이블 통합, 테이블 분할, 조인구조, PK, FK 등 여러 가지 성능과 관련된 사항이 데이터 모델링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 분석/설계 단계에서 데이터 모델링 → 성능저하에 따른 재업무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 데이터의 증가가 빠를수록 성능저하에 따른 성능개선 비용은 증가하게 된다. 성능 데이터 모델링 고려사항 순서 1) 데이터 모델링을 할 때 정규화를 정확하게 수행 2) DB 용량산정을 수행 3) DB에 발생되는 트랜잭션의 유형을 파악 4) 용량과 트랜잭션의 유형에 따라 반정규화를 수행 5) 이력모델의 조정, PK/FK조정, 슈퍼/서브타입 조정 6) 성능관점..

자격증/SQLD 2023.02.20

SQLD 1장 1과목

1과목 1장 1. 데이터모델링 유의사항 1) 중복 : 데이터베이스가 여러 장소에 같은 정보를 저장하지 않게 함 2) 비유연성 : 사소한 업무변화에도 데이터모델이 수시로 변경되면 유지보수 어려움 → 데이터의 정의와 데이터의 사용 프로세스를 분리 3) 비일관성 : 데이터의 중복이 없어도 비일관성 발생 가능 → 모델링 할 때 데이터간 상호 연관관계 명확히 정의 → ex) 신용상태에 대한 갱신 없이 고객의 납부이력정보 갱신 2. 데이터모델링의 3단계 진행 1) 개념적 데이터모델링 : 추상화 수준이 높고 업무 중심적이고 포괄적인 수준 2) 논리적 데이터모델링 : 구축 솔루션에 대해 Key, 속성, 관계 등을 정확하게 표현, 높은 재사용 3) 물리적 데이터모델링 : 데이터베이스 이식, 성능/저장 등 물리적 성격 고..

자격증/SQLD 2023.02.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