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존성 주입이란? 필요한 객체를 함수 내에서 직접 생성해서 사용하면, 다른 객체로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 소스를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운 일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의존성 주입을 통해, 객체 간의 결합도를 낮추고 수정을 용이하게 해 준다. DI 방식 3가지 방식이 있지만 실행 중 변경될 일이 없기 때문에, 생성자로 1번만 실행하고 변경이 되지 않게 하는 게 좋다. 1) 필드 주입 @Autowired private MemeberService memberService; 2) Setter 방식 @Autowired private MemeberService memberService; public setMemberService(MemeberService memberService){ this.membe..